민사집행법 시행령 개정(압류금지 최저한도 금액 상향 185만원)
민사집행법 시행령
[시행 2019. 4. 1.] [대통령령 제29603호, 2019. 3. 5., 일부개정]
【제정·개정이유】
[일부개정]
◇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
강제집행 시 채무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채무자등의 생활에 필요한 1개월간의 생계비나 일정금액의 급여채권 또는 채무자의 1개월간 생계유지에 필요한 예금 등은 압류를 금지하고 있고, 현재 압류가 금지되는 최저한도 금액은 150만원으로 정해져 있는데, 이 금액은 2011년 이후 개정되지 않고 있어 그동안 인상된 소비자물가ㆍ최저생활수준 등 변화한 경제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.
이에 따라 생계비와 급여, 예금 등에 대하여 압류가 금지되는 최저한도를 185만원으로 상향함으로써 채무자에 대한 최소한의 생활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려는 것임.
<법제처 제공>
【제정·개정문】
무회의의 심의를 거친 민사집행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을 이에 공포한다.
대통령 문재인 (인)
2019년 3월 5일
국무총리 이낙연
국무위원 법무부 장관 박상기
⊙대통령령 제29603호
민사집행법 시행령 일부개정령
민사집행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.
제2조 본문 및 단서 중 "150만원"을 각각 "185만원"으로 한다.
제3조 중 "150만원"을 "185만원"으로 한다.
제7조 본문 및 단서 중 "150만원"을 각각 "185만원"으로 한다.
부칙
제1조(시행일) 이 영은 2019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.
제2조(압류금지 생계비, 급여채권 및 예금등에 관한 적용례) 제2조, 제3조 및 제7조의 개정규정은 이 영 시행 이후 접수되는 압류명령 신청사건부터 적용한다.
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♡ 부탁드려요 ^.^
'법률정보 > 민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. 5. 1.부터 법원송달료 인상 (0) | 2019.05.07 |
---|---|
집행권원 취득 후 강제집행은 어떻게? 재산명시 신청, 재산조회 신청, 채무불이행자명부등재 신청, 재산명시신청 양식 등 (2) | 2019.04.30 |
권리금과 관련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개정(15.5.13시행) 등 (0) | 2019.03.19 |
하자담보책임 (0) | 2019.03.19 |
민법 제742조 비채변제란? (0) | 2019.03.19 |